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의장의 매파적 발언에 급락세로 돌아섰습니다.
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74.98포인트(1.72%) 하락된 32.856.46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 & P)500지수는 전장보다 62.05포인트(1.53%) 떨어진 3,986.37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45.41포인트(1.25%) 밀린 11,530,33으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1. 파월 의장 강경발언 이유
시장은 파월 의장의 강경한 발언에 주목을 하였는데
파월 의장은 상원 증언에서 연준의 금리인상이 연준 자체 전망보다 더 강화될 가능을 사사하였습니다.
그는 이날 상원 은행 위원회에 출석하여 "최근의 경제 지표가 예상보다 더 강하게 나왔으며, 이는 최종금리가 이전에 예상한 것보다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서 "전체 지표가 더 빠른 긴축이 타당하다고 시사한다면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준비가 되어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이유로 시장에서는 오는 21일~2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이 0.25%p 대신 0.50% p 금리인상이 단행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 금리선물시장에서는 연준이 3월 회의에서 0.50p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70% 수준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파월의 발언 이후 채권시장에서는 장단기 금리 역전이 심화해 경기침체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금리는 11bp 이상 올라가 5%를 돌파하였습니다.
반면 10년물 국채금리는 1bp 오르는데 그친 3.97%에 머물러 둘 간의 금리 스프레드는 -1000bp를 넘어섰습니다.
장단기 수익률 역전 폭이 -100bp를 넘은 것은 지난 1981년 9월 이후 처음이며, 단기금리는 연준의 더 큰 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을 가격에 반영하였으며, 장기물 금리는 그에 따른 경기 침체 위험을 가격에 반영을 하였습니다.
2. S & P500지수 내 11개 업종 하락
금융과 부동산 관련주 2% 이상 하락하였으며, 기술과 산업, 유틸리티 쪽 관련주도 1% 이상 떨어졌습니다.
페이스북 모기업 메타의 주가는 이르면 이번 주 수천 명을 감원할 것이라는 소식에 오름세를 보이다 시장 약세에 0.2% 하락되어 마감되었습니다.
미국 스포츠용품 판매업체 딕스스포팅굿즈는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 발표에 주가는 11% 이상 상승을 하였습니다.
리비안 주가는 13억 달러 규모의 채권 발행 계획에 14% 이상 하락되었습니다.
테슬라도 3% 이상 하락하였고, 루시드 그룹은 5% 이상 급락하였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트넘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실패 (0) | 2023.03.09 |
---|---|
갑질논란 노제 소속사 법적분쟁 (0) | 2023.03.09 |
전소민 캐스팅 '온리 갓 노우즈 에브리띵' (0) | 2023.03.08 |
김효진 '오아시스' 특별 출연 (0) | 2023.03.07 |
고진영 HSBC월드챔피언십 우승 (0) | 2023.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