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파월 '빅스텝' 강경 발언 금리 인상 가능성

by 방구석한량입죠 2023. 3. 8.
728x90
반응형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의장의 매파적 발언에 급락세로 돌아섰습니다.

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74.98포인트(1.72%) 하락된 32.856.46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 & P)500지수는 전장보다 62.05포인트(1.53%) 떨어진 3,986.37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45.41포인트(1.25%) 밀린 11,530,33으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1. 파월 의장 강경발언 이유

시장은 파월 의장의 강경한 발언에 주목을 하였는데

파월 의장은 상원 증언에서 연준의 금리인상이 연준 자체 전망보다 더 강화될 가능을 사사하였습니다.

그는 이날 상원 은행 위원회에 출석하여 "최근의 경제 지표가 예상보다 더 강하게 나왔으며, 이는 최종금리가 이전에 예상한 것보다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서 "전체 지표가 더 빠른 긴축이 타당하다고 시사한다면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준비가 되어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이유로 시장에서는 오는 21일~2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이 0.25%p 대신 0.50% p 금리인상이 단행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 금리선물시장에서는 연준이 3월 회의에서 0.50p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70% 수준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파월의 발언 이후 채권시장에서는 장단기 금리 역전이 심화해 경기침체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금리는 11bp 이상 올라가 5%를 돌파하였습니다.

반면 10년물 국채금리는 1bp 오르는데 그친 3.97%에 머물러 둘 간의 금리 스프레드는 -1000bp를 넘어섰습니다.

 

장단기 수익률 역전 폭이 -100bp를 넘은 것은 지난 1981년 9월 이후 처음이며, 단기금리는 연준의 더 큰 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을 가격에 반영하였으며, 장기물 금리는 그에 따른 경기 침체 위험을 가격에 반영을 하였습니다.

 

2. S & P500지수 내 11개 업종 하락

금융과 부동산 관련주 2% 이상 하락하였으며, 기술과 산업, 유틸리티 쪽 관련주도 1% 이상 떨어졌습니다.

 

페이스북 모기업 메타의 주가는 이르면 이번 주 수천 명을 감원할 것이라는 소식에 오름세를 보이다 시장 약세에 0.2% 하락되어 마감되었습니다.

 

미국 스포츠용품 판매업체 딕스스포팅굿즈는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 발표에 주가는 11% 이상 상승을 하였습니다.

리비안 주가는 13억 달러 규모의 채권 발행 계획에 14% 이상 하락되었습니다.

 

테슬라도 3% 이상 하락하였고, 루시드 그룹은 5% 이상 급락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