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식증(신경성 식욕부진증)은 대표적인 섭식장애의 하나로, 살을 빼려는 지속적인 행동, 체중 감소, 음식과 연관된 부적절한 집착, 음식을 다루는 기이한 행동까지 살이 찌는 것에 대한 강한 두려움과 무월경 등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이러한 거식증의 초기 증상부터 원인, 그리고 치료까지 오늘의 포스팅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거식증
거식증은 섭식장애의 일종으로 음식을 극단적으로 먹지 않아서 체중이 정상 체중에서 15%, 심할 경우에는 30~40%까지 밑도는 상태를 말합니다. 거식증 환자 대부분은 저체중 상태이고, 심각한 저체중임에도 불구하고 체중 증가와 비만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을 가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섭식장애
섭식 또는 식이행동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정신 질환으로, 대개 먹는 행위에 대한 강박관념으로 인하여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지나치게 많은 양의 음식을 한 번에 섭취하는 폭식증과 음식을 거부하는 거식증은 서로 상반되어 보일 수 있지만 모두 같은 섭식장애의 일종이라고 합니다.
소아 거식증
거식증은 소아 청소년 시기에 발병되는 경우 많습니다. 이 시기에 거식증이 발병하게 되면 성장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회복하기 어려운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고 하니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거식증 원인
거식증의 원인으로는 상하부 뇌하수체 축의 이상이나 뇌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정신적인 불안함이 이어지게 되어 뇌신경전달물질 체계에 불균형을 일으켜 나타나는 병증입니다.
사회적 원인으로는 운동과 날씬함을 추구하는 사회적 이슈와 마른 몸매에 집착하게 되는 강박관념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 밖에도 여러 가지 원인들이 제기되고 있다고 합니다.
소아 거식증 원인
소아 거식증의 원인에 대해서는 정신분석적인 견해가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어머니와의 갈등과 분리 개별화 과정에서 왜곡된 식사 행동을 통해 소아 자산의 자율성을 표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합니다.
거식증 초기 증상
거식증 초기 증상으로는 보통 극단적으로 먹는 양을 줄이거나, 반대로 폭식한 뒤 일부로 구토를 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는 게 일반적입니다. 특히 청소년기에 이 같은 섭식장애를 겪게 되면 정상적인 뇌발달과 신체 성장을 방해를 하기 때문에 초기에 증상을 발견하면 빨리 치료를 하는 게 중요합니다.
01. 특이한 식습관
자여에게 없던 식습관이 갑자기 생겨나거나 식탁에서의 특이한 행동을 반복적으로 할 경우에는 섭식장애를 의심해 볼 피룡가 있습니다. 음식을 아주 작게 잘라먹는다거나, 그릇에 놓은 음식을 특이한 방식으로 배열하는 경우, 음식마다 순서를 정한 후 지나치게 순서를 집착하는 모습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행동이 단독으로 나타난다면 단순 습관일 수 있으나, 음식과 체중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함께 보이게 된다면 거식증 초기 증상으로 의심해야 합니다.
02. 신체 사이즈 집착
체중과 신체 사이즈에 심한 직첩을 보이는 것도 섭식장애 증상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 성장기 청소년은 몸무게나 신체 변화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지만, 민감한 것을 넘어 과도하게 집착하고, 식습관까지 급격하게 바뀌었다면 섭식장애를 의심해 보는 게 좋습니다. 특히 식사 후 곧바로 화장실에 구토를 한다면 섭식장애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03. 조미료, 음료수 과다 섭취
조미료, 음료수를 과도하게 섭취하는 경우에도 거식증 촉증상으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조미료의 경우에는 섭식장애로 인해 음식 맛을 제대로 느껴지지 않아 더 자극적인 맛을 찾는 것일 수 있다고 합니다. 포만감을 유지하고 식사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이어트 콜라, 커피와 같은 음료수를 과다 섭취하는 것 또한 섭식장애의 전조증상 중 하나라고 합니다.
04. 공개된 장소에서의 식사
일반적으로 거식증 증상의 시작은 체중 감소와 연관된 부적절한 식이 행동으로 주로 비밀스럽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족과 함께 공공장소에서 식사하는 것을 꺼려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05. 폭식과 구토
거식증 증상으로 폭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체로 비밀스럽게 이루어지는데, 주로 밤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폭식 이후에는 일부의 환자들이 구토를 유발하기 위해서 손을 사용하기 때문에 손등에 다친 자국 및 흉터가 형성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06. 내과 장애
거식증을 초기에 발견해서 치료하지 못하게 되면 빈혈이나 만성적인 탈수 증상, 저칼륨증과 연관된 신기능의 장애, 심한 저혈압 및 부정맥 등과 같은 심혈관계이상, 칼슘의 섭취 및 흡수 감소, 여성호르몬의 일종인 에스트로겐 분비의 감소, 코티졸 분비의 증가에 의한 골다공증 등과 같은 다양한 내과적인 장애도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거식증 증상
거식증은 이처럼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합병증을 가져오고 생명을 잃을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므로, 이 질환이 의심된다면 가까운 정신과 의사에게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소아거식증 또한 사망률이 가장 높은 소아 정신과 질환이며, 극단적으로 음식을 거부하면서 혈액 생성 부족, 영양불량, 면역력 감소 등을 야기하며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소아 거식증은 정상적인 성장을 막게 되어 어른이 된 뒤에도 평생 건강까지 해칠 수 있으며 제때 치료치 않으면 성인까지 거식증이 이어지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고 합니다.
거식증 치료
거식증은 정신건강을 해침과 동시에 신체적 건강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는 인지행동요법, 정신치료, 약물 치료, 저체중 교정 등이 있습니다. 거식증이 있는 사람은 아주 조그마한 몸무게 변화에도 자존심이 왔다 갔다 하며 자기 자신에 대한 자존감을 잃기 쉽다고도 합니다.
체형 말고도 얼굴, 성격 등 일반적으로 자존심과 연결시킬 수 있는 다른 외모에 관심을 쏟을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게 중요합니다. 가족을 포함한 주변 사람들이 역할들이 중요하며, 많이 먹는다 등 먹는 것과 체형에 관련된 부정적인 언급을 자제해야 합니다.
소아거식증 치료
소아 거식증의 경우에는 부모 아이의 음식 선택과 운동에 너무 엄격해지거나 체중에 몰두하는 등의 조기 경고 신호를 알아차릴 필요가 있습니다. 소아과 의료진은 어린이나 십 대의 섭식 장애가 있는지 눈여겨 확인하고 급격하게 체중이 감소했는지 여부를 검사할 필요가 있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염에 좋은 음식 비염에 좋은 차 (0) | 2023.03.30 |
---|---|
수족냉증 원인과 증상, 수족냉증 치료와 예방방법 도움이되는 음식 (0) | 2023.03.30 |
코골이 원인과 고치는방법 코골이 치료방법 (0) | 2023.03.29 |
이석증 발생하는 원인 증상 관리하는 방법 (0) | 2023.03.28 |
비타민D효능 결핍 증상 비타민D 풍부한 음식 총정리 (0) | 2023.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