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이갈이 증상 원인 치료 방법

by 방구석한량입죠 2023. 4. 13.
728x90
반응형

이갈이는 코골이와 비슷하게 불쾌한 소음을 유발하면서 주위에 고통을 줄 뿐 아니라, 본인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갈이는 주로 수면을 취하는 도중에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낮에도 자신도 모르게 이갈이를 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이갈이 환자들은 다른 사람이 이야기를 해주기 전에는 본인의 습관을 모르기 때문에 실제 이갈이는 알려진 것보다 훨씬 많을 수 있습니다.


이갈이 원인과 증상

이갈이 원인

이갈이의 명확한 원인은 아직도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한땐 윗니 아랫가 서로 만나는 치아의 접촉관계가 나쁜 경우에 이를 꽉 물거나 이갈이 발생된다고 했지만, 여러 연구 결과 치아 배열 상태의 이상만으로는 이갈이를 설명할 수 없고, 치아 접촉관계와 이갈이 사이의 직접적인 관련성은 부족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반응형

명백한 원인이 없는 수면 관련 이갈이는 일차성으로 명명하며, 정신활성약물, 여흥용 약물, 다양한 내과질환 등과 연관이 된 이갈이는 이차성으로 구분합니다. 치료로 유발되는 이차성 수며 관련 이갈이는 의원성 이갈이라고도 하며, 일차성의 경우에는 건강한 소아와 성인에게 대개 나타나게 되지만 이차성인 경우에는 뇌성마비, 정신지체, 비정상운동 환자 등의 소아에게서 관찰된다고 합니다.

건강한 성인일 경우에는 심리적으로 평가를 해보면 환경적인 요인으로 생긴 스트레스와 불안 등과 밀접하게 연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갈이 증상

수면 중 일회성의 지속적인 악물기(긴장성 수축), 반복적이고 연속적인 유상성 근육 수축(율동성 저작근육 활동)이 수면 중에 강하게 일어나면서 이가는 소리를 발생시킵니다.

01. 비정상적인 치아의 마모와 치아관련 증상

- 이갈이 시 접촉되는 치아들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닳게 되고, 순간적으로 강한 힘이 가해지면서 치아파절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 치아의 감각이 예민해질 수 있으며, 찬물에 시린 증상이나 저작 시 통증이 생기게 됩니다.

 

 

02. 턱근육 통증, 관자놀이 주위 통증

- 음식물을 씹을 때 관여되는 근육(저작근)과 악(턱) 관절은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은 잘 견디지만, 이갈이처럼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게 되는 힘은 잘 견디지 못한다고합니다. 그래서 이갈이가 반복적으로 진행하게 되면 턱을 움직이는 근육들이 비정상적인 힘을 많이 받게 되어 얼굴 주위의 근육에 묵직한 느낌이나 통증이 발생 될 수 있습니다.

 

03. 악(턱)관절 이상

- 악(턱) 관절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관절에 손상이 나타나게 되면 턱관절에서 소리(관절음)가 나며, 통증 및 기능 이상을 일으키게 되어 정상적인 턱 운동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04. 중증 수면 관련 이갈이는 수면 곤란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환자만이 아닌 배우자에게도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이를 갈 때 치아 마찰로 인한 소리는 들리는 사람에게는 불쾌하게 들리게 되어 주위 사람들의 수면을 방해하고 피해를 주게 됩니다.

 


이갈이 진단과 검사

수면 관련 이갈이는 모든 수면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1단계, 2단계 비렘수면에서 흔히 나타나고 10% 미만만이 렘수면에서 일어납니다. 일부 사람들은 수면 관련 이갈이가 렘수면에서 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젊고 건강한 환자에게서는 드물다고 합니다. 

 

 

수면다원검사는 질환을 증명하거나 호흡곤란, 야경증, 안면하악 근경련, 간질 등의 동반질환을 배제하기 위한 경우에만 실시하게 됩니다. 중증의 경우는 수면다원검사의 민감도는 중간 이상이며, 경증의 경우는 검사마다 편차가 크기 때문에 민감도는 낮은 편입니다.  수면 관련 이갈이의 진단을 위해서는 단위시간당 최소 4회 이상의 이갈이가 있거나, 간질과 같은 비정상뇌파활동이 없으면서 단위시간당 15회의 개별근육활동에 단위시간당 최소 2회 이상 이가는 소리가 들려야 진단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른 검사는 유용하지 않으며 뇌파는 간질이 의심될 경우에는 시행하게 됩니다.

 


이갈이 치료

이갈이의 원인을 명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원인을 없애 이갈이를 근본적으로 없애는 방법은 현실적으로는 어렵다고 합니다. 현재 이갈이를 없애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턱 주위의 근육긴장을 줄일 수 있는 안정 장치를 입 안에 장착하는 방법과 센서와 같은 장치를 몸에 달게 하여 이갈이를 하게 되면 센서가 작동되어 이갈이의 중단과 경각을 주는 행동 조절 요법입니다. 

안정 장치

안정 장치는 틀니와 비슷한 모양인데,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제작되었고 쉽게 끼고 뺄 수 있습니다. 안정 장치를 착용하게 되면 턱관절과 턱 주위 근육에 가해지는 과도한 힘이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이갈이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증상이 나타나는 것 또한 예방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