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노년, 젊은층 녹내장 초기증상 원인과 예방

by 방구석한량입죠 2023. 5. 5.
728x90
반응형

녹내장은 노화로 인한 안구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 들어 젊은 연령대에서도 종종 발생을 하고 있는데, 실제로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시스템의 2018년부터 2021년 통계에 의하면 녹내장으로 병원에 내원을 한 환자의 10%는 20~30대의 젊은 층이라고 합니다. 


젊은 층 녹내장 원인

녹내장은 시신경이 손상되어 시야가 점점 좁아지고 말기에는 시력을 상실하게 되는 질환이며, 세계보건기구(WHO)가 선정한 3대 실명 질환 중의 하나입니다. 보통 눈의 노화와 안압 상승이 함께 오게 되며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노인성 질환으로 여겨졌으나, 20~30대에서 나타나는 녹내장은 고도근시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응형

고도근시 환자의 경우에는 안구 앞뒤 길이가 정상 눈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길어 눈을 지지하는 구조물들의 두께가 얇고, 힘도 약해서 시신경이 쉽게 손상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고도근시가 있는 눈과 정시인 눈의 시신경우두 모양을 비교하였을 때, 근시가 없는 눈은 동그란 도넛 모양을 하고 있지만, 고도근시가 있는 눈은 타원형으로 찌그러져 있고, 방향도 뒤틀려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시신경이 손상되어 녹내장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젊은 층에서 녹내장이 발생될 다른 원인들

  1. 영유아 시기부터 눈의 방수 배출 기능이상으로 안압 조절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아 발생하게 되는 선천 녹내장
  2. 당뇨가 있어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신생혈관 녹내장
  3. 라식 라섹 등 시력교정술과 포도막염 등 안질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약물을 오래 사용하게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스테로이드 녹내장
  4. 외상으로 인해 눈을 다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녹내장

 


노년층 녹내장 원인

녹내장 원인으로는 안압의 상승으로 인한 시신경의 손상일 수 있는데 정확하게 어떤 원인 때문에 발생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안압상승에 의해 시신경이 눌려 손상되거나 시신경 혈류에 장애가 생기게 되어 시신경이 손상되는 두가지로 녹내장의 원인으로 추측하고 있고, 안압이 높아지면 시신경 손상이 오게 되어 녹내장의 원인으로 보고 있으며, 유전적 요인, 고혈압, 당뇨병, 근시, 심혈관 질환 등으로 인해 안압이 높아지기도 합니다.


녹내장 초기증상

녹내장은 급성과 만성으로 증상이 나뉘게 됩니다. 급성의 경우에는 갑작스런 안압의 상승으로 시력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거나 두통, 안구충혈, 구토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녹내장은 만성일 경우가 많으며, 시신경이 서서히 손상되어 자각 증상을 느끼기 어렵다가 시간이 점차 지나면서 시야가 손상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압이 높아지게 되면 안구통증이 발생하게 되어 두통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증상을 방치하기보다는 안과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습니다.

 


 


녹내장 진단 / 치료방법

녹내장 진단
주로 정기검진을 통하여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녹내장이 의심될 경우 시력검사, 안압 측정, 중심 각막 두께 측정, 전방각 검사, 시신경 검사, 시야검사 등을 하고 필요시 정밀 추가 검사를 진행합니다.

녹내장 치료

약물치료
안압하강을 위한 점안약 또는 구강 약, 고 삼투압제, 신경보호 기능 목적의 약물이 사용됩니다.

레이저치료
홍채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작은 구멍을 뚫어 방수의 순환이나 배출을 도우며, 시술 후에도 안압하강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는다면 추가적 약물치료가 시행되거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치료
섬유주절제술, 녹내장 임플란트 삽입술, 최소 침습 녹내장수술 등이 있으며, 수술의 목적은 안압을 조절하는 것으로 손상된 시신경이 복구 될 수는 없습니다.




녹내장은 초기에 발견하여 꾸준히 치료를 받는다면 실명까지 가지 않기에 주기적으로 안압, 안저 검사 등 안과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녹내장은 발견 시기와 대처 방법에 따라 예후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